728x90
반응형
변수 생성 방법
var
var로 변수를 만들게되면 같은 변수명으로 변수를 2개 생성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가장 뒤에 생성된 값으로 변수를 생성하게 된다.
ex)
var hello = "world";
var hello = '월드;
console.log(hello);
이런식으로 하게 되면 console에서 찍히는것은 '월드' 라는 값이다
let
let은 위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만든 자료형이다.
이건 같은 변수명으로 변수를 2개이상 만들수가 없다.
let과 var를 같이 쓰게 되더라도 같은 변수명이면 오류가 난다.
즉 let으로 변수를 만들게되면 같은 변수명을 사용하게 되면 오류가 난다.
하지만 오류가 안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둘다 같은 위치
즉 같은 지역안에 있으면 오류가 나는데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하게 되면 오류가 생기지 않는다.
ex)
let hello = 'world';
//let hello = 'korea';
if(true){
let hello = 'korea';
console.log(hello);
}
//test1();
console.log(hello);
이렇게 되면 출력되는 값은
korea
world
이렇게 출력이 된다.
const
const는 해당 변수에 값을
변경이 불가능 하다. 자바에서는 final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const도 let처럼 서로 다른 지역에 있으면 오류가 나지 않지만
const object(객체) 형인건 값을 재할당이 가능하다
ex)
//객체 생성
const drinks = {};
drinks.caffe = 'latte';
drinks.ade = 'lemon'
console.log(drinks);
배열도 마찬가지로 자료형이 const이더라도 각각의
배열에 접근이 가능하다.
//배열
const arr = [1,2,3,4,5];
arr[0] = 2;
arr[4] = 6;
console.log(arr);
String Literal
기존의 String의 방식은 아래와 같이 사용했다.
const val1 = 'hello';
const val2 = 'wolrd';
const val3 = val1 + ' ' + val2 + '!!!'
console.log(val3)
이렇게 되면 "hello wolrd!!!"가 출력이 되는데
String literal 방식을 사용하면
const val4 = '${val1} ${val2}!!!';
console.log(val4);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사용이가능하다.
반응형
'코딩일기 > React-Nat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6 기초] spread operator (0) | 2021.05.10 |
---|---|
[ES6 기초] Rest Operator (2) | 2021.05.10 |
[ES6 기초] for ...of 반복문 (0) | 2021.05.10 |
React Native Navigation - Stack Navigation을 활용한 페이지 이동 (0) | 2021.04.19 |
[React-Native] Window에서 React-Native 시작하기!! (4) | 2021.04.12 |